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혜택 연장 및 온라인 신청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제대군인 청년들에게 특별한 혜택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혜택이 새롭게 연장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년들이 누릴 수 있는 할인 혜택과 온라인 신청 방법을 상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특히 국방의 의무를 성실히 마친 제대군인 청년들의 할인 기간을 연장해주는 기존 혜택보다 더욱 유리한 조건이 마련되었으니,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기후동행카드란?
기후동행카드는 사회 생활을 시작하는 청년들의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시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이며, 지하철, 버스, 따릉이 등 다양한 교통수단에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기후동행카드 할인은 만 19세부터 39세까지의 청년들에게 적용되며, 군 복무를 마친 제대군인들은 실제 군 의무복무 기간에 따라 2년 이상 복무한 경우는 42세, 1년 이상 2년 미만은 41세, 1년 미만 복무한 경우는 40세까지 자동 연장되어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의무복무 제대군인 : ‘병역법’, ‘군인사법’, ‘대체역의 편입 및 복무 등에 관한법률’에따라 5년 미만의 기간을 현역, 보충역 또는 대체역으로 복무하고 전역한 사람
따라서, 제대군인 청년들은 의무복무 기간에 따라 청년할인 혜택을 최대 3년까지 연장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대군인 혜택을 받으려면 신청자가 직접 병역증명서를 구비해서 이메일로 제출하고 2일정도 후에 승인이 되었는데 이제는 별도 서류 제출 없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병적증명을 확인하고 할인 승인까지 받을 수 있으니 매우 편리해진거죠.
30일권 청년할인 적용 가격은 55,000원 (따릉이 포함 시 58,5000원)으로 일반권 62,000원 기준으로 7,000원 할인 제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도 군 생활은 남들보다 조금 더 길게 7년동안 해서 그런지, 국방의 의무를 성실히 마친 제대군인들에게 보다 많은 혜택이 주어졌으면 하는 바람이 항상 있었습니다. 때문에 이번 기후동행카드 청년 혜택 중 제대군인들에게 최대 3년동안 교통복지 서비스를 확대한다는 소식에 매우 기뻤습니다. 이렇게 좋은 혜택을 제대군인 청년들 못받으면 본인만 손해겠죠??
온라인 신청 방법
청년(제대군인 포함) 기후동행카드 신청 및 연장은 이제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
1.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 접속
2. 청년 할인 안내 메뉴에서 제대군인 할인 기간 연장 선택
3. 자격 확인 후 신청
기후 동행카드 신청 및 청년 할인방법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 접속)
청년할인 혜택을 계속 받으려면 최초 할인 충전일 기준으로 6개월마다 청년 연령 재인증이 필요하며 재인증 기간 초과 시 일반요금이 적용되므로 반드시 기한을 준수하여 재 인증을 받으셔야 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 혜택은 가뜩이나 취업준비하면서 경제적 부담이 작지 않은 청년들에게 조금이나마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제도이기에 제대군인을 포함한 청년들은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청년들은 반드시 할인 내용을 확인하고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럼, 지금 바로 신청하러 가보세요.
'정부 정책, 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정책] 사망보험금 연금전환, 유동화, 계약대상, 신청자격 등 총정리 (3) | 2025.03.30 |
---|---|
[정부지원] 긴급돌봄 지원사업 지원대상, 방법, 지원서비스, 지원금액 (2) | 2025.03.28 |
[정부지원] 중장년 경력지원제도 지원대상, 지원내용 등 혜택 총정리 (0) | 2025.03.27 |
[정부지원]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혜택 총정리 지원대상, 신청절차, 우대금리, 만기수령금 (2) | 2025.03.25 |
[정부지원] 부모급여 총정리: 신청 방법부터 지급액까지 완벽 가이드 (6) | 2025.03.21 |
[정부지원] K패스 경남형 대중교통비 지원 경남패스 안내 (0) | 2025.03.20 |
[정부지원] K패스 사업소개 및 혜택 총정리 교통카드 대중교통비 환급 (4) | 2025.03.19 |
25년도 자산형성 정부 지원사업 저축계좌 총 정리 (희망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0) | 2025.03.17 |